비디오의 시대에 다시 뜨는 오디오 콘텐츠

유튜브의 성장으로 이제는 비디오가 미디어 시장의 주류 콘텐츠로 자리잡았습니다. 모든 미디어 플랫폼을 막론하고 비디오가 대세인 요즘, 사람들이 다시 찾는 콘텐츠가 있는데요. 바로 오디오 형식의 콘텐츠입니다.

오디오 콘텐츠하면 우선 떠오르는 것이 라디오 입니다. 가정용 비디오가 보급되자 ‘라디오는 곧 사라질 것’이란 전망까지 나왔지만, 지금까지도 라디오는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디지털 시대로 넘어오면서 라디오는 팟캐스트로 진화했고, 전자책 못지 않게 오디오북도 꾸준한 인기입니다.

끝날 줄 알았던 오디오 콘텐츠가 오늘날까지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무엇이고, 이 트렌드를 효과적으로 활용한 마케팅 사례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오디오 콘텐츠의 시대가 돌아오다!

2019년 국내 최대 팟캐스트 플랫폼 ‘팟빵’의 콘텐츠 청취시간은 1억 7446만 시간으로, 2017년보다 무려 4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팟캐스트 플랫폼 ‘오디오클립’을 통해 오디오 콘텐츠 시장에 뛰어든 국내 최대 검색 엔진 네이버는 2019년 기준 누적 청취자 수가 무려 21만 명에 달한다고 밝히기도 했죠.

오디오 콘텐츠 시장은 비디오에 밀려 주춤했던 지난 날은 잊고 나날이 성장하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이처럼 오디오 콘텐츠가 소비자에게 사랑받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첫째, 멀티태스킹의 가능성

다른 콘텐츠와 차별화되는 오디오 콘텐츠의 가장 뚜렷한 특징은 바로 멀티태스킹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청각만을 사용해 콘텐츠를 소비하다 보니 시각에 집중할 필요가 없어 이용 시간이 쉽게 길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배경음악처럼 오디오를 틀어둔 채 다른 활동을 하는 멀티태스킹 소비 경향에 주목해, 블룸버그나 파이낸셜타임스 등 영향력 있는 언론들은 텍스트 콘텐츠를 오디오로 전달하는 음성 변환(Text-to-Audio) 기능을 앞다투어 선보이기도 했습니다.

둘째, 오디오 친화적 디지털 환경 변화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마켓앤마켓에 따르면 국내에서 무려 1,000만 대 이상의 스마트 스피커가 사용되고 있다고 하는데요. KT의 기가지니, 카카오의 카카오i 등 인공지능 스피커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오디오를 그 어느 때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었습니다.

요즘은 스마트 스피커에 말 한 마디만 하면 음성 검색을 통해 오디오 콘텐츠를 손쉽게 접할 수도 있습니다. 그만큼 우리 일상의 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죠. 집안에서, 사무실에서, 그리고 어딘가로 이동하는 자동차 안에서 등 언제 어디서나 오디오를 접할 수 있는 환경 역시 오디오 콘텐츠의 인기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셋째, 요약 콘텐츠에 대한 높은 관심

영화 관람이나 책 한권을 읽기 보다 영화, 책, 방송 등을 요약해주는 팟캐스트를 들어본 경험이/ 있으신가요? 디지털 시대에 태어난 밀레니얼과 Z세대는 넘쳐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습득하는 것에 익숙합니다.

많은 시간을 들여야 하는 콘텐츠보다는 여러 콘텐츠를 종합해 핵심만 제공하는 요약 콘텐츠가 인기를 끌고 있는 이유인데요. 오디오는 효율적으로 요약 정보를 습득하기에 가장 좋은 형태라는 점에서 젊은 세대가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늘어나는 오디오 콘텐츠 마케팅

소비자의 기호에 발맞춰 기업도 오디오 콘텐츠 활성화에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과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는 플랫폼이 라디오에 한정되었던 것과 달리 오늘날에는 다양한 형태의 오디오 플랫폼이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는데요. 기업은 브랜드 정체성을 잘 드러내는 팟캐스트 콘텐츠를 선보이거나, 신작 도서나 영화를 오디오북 형태로 소개하는 방식 등을 이용해 콘텐츠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죠.

자연 친화적 재료로 치약을 만드는 브랜드 젠디움(Zendium)은 이를 닦는 시간 2분 동안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팟캐스트 ‘2 Minutes of Zen’을 선보여 열광적인 반응을 얻었습니다. 치아 건강 관리법, 정신 건강을 위한 조언 등 이를 닦는 2분 동안 소비자의 건강한 삶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한 것이지요. 젠디움은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오디오 콘텐츠의 장점을 십분 활용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오디오를 통해 2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브랜드 정체성을 뚜렷하게 전달했고, 브랜드 친밀도를 강화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한국의 인터넷 서점 예스24 또한 팟캐스트를 효과적으로 활용한 브랜드 사례로 꼽힙니다. 정기적으로 책을 주제로 한 팟캐스트 ‘책읽아웃’을 게시하며 신작 도서에 대한 관심을 끌어내고, 나아가 주 소비자층과 긴밀한 관계를 구축하고 있죠. 또한 예스24 오프라인 매장에 마련된 스튜디오에서 공개적으로 팟캐스트를 녹음하면서 매장 방문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기도 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제 오디오 콘텐츠가 선택이 아닌 필수 마케팅 툴로 자리 잡을 것이라 전망합니다. 점점 더 많은 기업이 오디오 마케팅에 뛰어들고 있는 만큼, 차별화되는 매력적인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이 중요해졌죠.

비디오의 시대에 역설적으로 부상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활용해보세요. 오디오만의 특징을 이해하고, 기업의 니즈에 부합하는 콘텐츠를 기획한다면, 고객에게 매력적인 브랜드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겁니다.